결혼용어 알아보기 #기본편
안녕하세요. 검소한 풀소유입니다🕵️♂️
결혼준비를 시작하면 용어들에 굉장히 낮설어 힘든경우가 많습니다. 줄결혼준비 시작할 때 결혼 준비 용어들을 알고 결혼분비를 하면 상담받을때 제품선택할때 좀 더 수월한 경우가 있습니다. 특히 예물 예단 예물 이름은 비슷한데 뜻이 무엇인지 헷갈리기 시작합니다. 조금이라도 알고 시작하면 좋은 결혼용어들을 오늘 알려드리겠습니다.
• 예복: 결혼 준비하면서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해주는 옷을 의미합니다. 보통 신랑이 예식 때 입는 정장을 예복으로 많이 부릅니다.
• 예물: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해주는 물품을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귀금속 명품가방을 준비합니다. 최근에는 결혼반지만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• 예단: 낯선 집안으로 딸을 보내는 친정부모가 딸을 이쁘게 봐달라는 의미로 신부가 시댁에 보내는 선물을 의미합니다. 현금을 보내는 현금예단, 이불/반상기세트/옷/ 은수저 등은 현물예단, 귀이개,/손거울/청홍 잡곡 주머니 (팥, 찹쌀)을 드리는 애교예단이 있습니다.
• 애교예단: 예단을 생략하는 경우 또는 현금예단을 할 경우 허전함을 채우기 위한 소소한 선물 (손거울, 귀이개, 팥&찹쌀을 넣은 복주머니)
• 현물예단: 물건으로 드리는 예단(이불, 반상기세트, 은수저 방짜수저, 옷 등)
• 현금예단: 현금으로 드리는 예단(주로 시어머님 한복, 시아버님 양복, 직계가족 정장 한벌, 주위 친척들 선물값 등 *현금은 홀수로 보냄)
• 예단 삼총사 : 이불, 반상기, 은수저
• 봉채비: 예단을 받은 신랑 측에서 신부측으로 돌려보내는 돈입니다. 최근에는 꾸밈비로 돌려줍니다.
• 꾸밈비: 신랑측에서 신부에서 옷이나 화장품 등을 구입하라고 주는 현금입니다.
• 폐백음식: 보통 신부댁에서 신랑댁으로 보내는 인사음식이라고도 하며, 폐백을 진행할 때에 폐백음식은 필수입니다. (한과, 구절판, 복주머니, 술 등이 포함)
• 이바지 음식: 결혼 후, 양가 어른들이 서로 사돈댁으로 보내는 음식을 말합니다. 신부쪽에서 신랑쪽으로 이바지 음식을 보내면, 신랑쪽에서 신부쪽으로 보내는 것을 답바지라고 합니다.
• 함: 신랑 측에서 신부 측에게 보내는 선물입니다. 함에는 예물과, 꾸밈비, 한복들이 있습니다.
'결혼준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가 경험한 스드메 평균비용과 추가금이야기 (2) | 2023.03.18 |
---|---|
상견례 예절 알아보기 #상견례 꿀팁 (0) | 2023.03.07 |
결혼용어 알아보기 #예식장편 (0) | 2023.03.05 |
결혼용어 알아보기 #스드메편 (0) | 2023.03.04 |
까르띠에 웨딩밴드 상담후기와 브랜드알아보기 (0) | 2023.03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