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견례 예절 알아보기 #상견례 꿀팁
안녕하세요. 검소한 풀소유입니다🕵️♂️
많은 예비 신혼부부들과 부모님들도 떨려하는 행사 상견례에 대해서 여러 가지 팁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.
날짜 및 시간
• 결혼이 확정되었을 경우 웨딩홀 예약을 위해 양가 부모님의 의견을 모아 날짜와 시간을 확정합니다.
• 보통 토요일 점심식사를 선호하며, 한정식 코스의 경우 2~3시간 정도 소요됩니다.
위치
• 양가 같은 지역에 위치해 있다면 중간지역에서 진행합니다.
• 양가 다른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한쪽 집안의 지역으로 정하는 곳이 좋습니다. 만약 결혼식을 신랑이 있는 지역에서 한다면 상견례는 신부가 있는 지역으로 양가 배려가 필요합니다.
• 특정 사정으로 한쪽 집과 가까운 곳으로 가야 한다면 상견례 비용을 가까운 곳의 집이 지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장소
• 양가 부모님이 선호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 혹시 양가 부모님이 못 드시는 음식은 피하여 메뉴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• 보통 룸이 있는 한정식당 또는 코스 요리가 나오는 식당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개인적으로 한정식 코스가 나오는 식당을 추천드립니다.
인원
• 당사자 2인
• 양가 부모님 4인
• 직계 형제/자매
- 양가의 인원 균형이 중요하며, 한쪽의 형제/자매 수가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당사자와 부모님끼리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다만, 양가 부모님의 의견이 중요하겠죠?
옷차림
• 격식이 중요한 자리임으로 모두 단정한 옷차림으로 참석이 필요합니다.
- 신랑: 자켓+ 셔츠 + 슬랙스 깔끔한 옷
- 신부: 정장느낌이 나는 원피스 또는 단아한 느낌이 나는 옷
- 양가가족: 차려입은 느낌이 드는 깔끔한 옷
선물
• 어색한 분위기가 걱정된다면 선물을 준비하여 어색한 분위기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요즘은 과일이나 케이크 등 과하지 않는 선에서 양가 선물을 준비하기도 합니다.
• 상견례 선물은 필수가 아닌 선택입니다.
- 추천선물: 화과자, 떡, 술, 도라지정과, 과일바구니, 홍삼세트, 케익 등
자리배치
• 큰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양측 가족이 마주 보고 앉는 것이 기본입니다. 자리의 가운데는 가장 상석이므로 양가의 아버지께서 앉으시고, 양쪽으로 어머니와 예비부부가 앉는 것이 좋습니다.
상견례 예절과 대화주제
• 늦지 않는것은 당연한 예의 중 하나입니다.
• 양가의 종교가 같지 않은 경우 종교이야기, 결혼식 비용 문제, 정치 관련 문제는 지양합니다.
• 과한 자식자랑도 지양합니다.
• 서로 가족에 대한 칭찬과 예비부부가 만나며 일어난 일, 양가 부모님의 고향이야기, 취미 등 가볍게 풀어나갈 수 있는 주제로 대화합니다.
식사계산
• 일반적으로 예비부부가 양가 부모님께 대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• 정해진 것은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알맞게 조율하여 계산하면 됩니다.
• 멀리서 온 집안이 있다면 가까이 사는 집안에서 대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'결혼준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결혼식 본식 당일 필요한 준비물 및 후기 (0) | 2023.07.10 |
---|---|
내가 경험한 스드메 평균비용과 추가금이야기 (2) | 2023.03.18 |
결혼용어 알아보기 #기본편 (0) | 2023.03.06 |
결혼용어 알아보기 #예식장편 (0) | 2023.03.05 |
결혼용어 알아보기 #스드메편 (0) | 2023.03.04 |
댓글